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요방형근 (허리네모근, Quadratus lumborum muscle)

by 무빗 2023. 11. 10.
반응형

요방형근이란?

요방형근 근막의 심한 경직은 신장에 대한 폐색 기능을 가진다.

전체 요추의 횡돌기에 부착되어 요추에 대한 당김 밧줄로 균형을 잡는다.

12번째 부유늑골에 부착되어 있다. 부유 늑골은 또한 하후거근과 척추기립근들이 부착한다.

요방형근은 사각근과 형태나 부착이 비슷하기 때문에 공통점이 많다.

요방형근이 잘 이완되지 않으면 광배근, 대둔근, 복사근을 살펴야 한다.

요방형근은 골반에 변화를 주어 요추와 골반의 관계를 왜곡시킨다.

요방형근의 문제가 소둔근과 함께 발생하면 수술로 치유되지 않는 가성디스크가 생긴다.

대개가 마르고 요추가 후만 형으로 이루어진 사람들에게서 주로 볼 수가 있다.

장요근과 함께 복강의 압력에 대항하여 호흡의 주 근육인 횡격막의 기능에 관련이 된다.

허리통증이 있을 때 항상 살펴야 하는 근육은 요방형근, 척추기립근, 장요근, 내, 외복사근, 복직근, 대둔근, 중둔근, 대퇴근막장근 등이 있다.

지속적으로 앉아서 요방형근을 수축하면 근 피로되고 혈액 공급장애로 이어지며 근육과 섬유의 유착이 되어 근경직으로 나타난다.

 

해부학적 부착

장능 섬유: 장골능 후연/ 제 12 늑골 내측

장요 섬유: 장골능 후연/ L1-L5 횡돌기

요늑 섬유: 제12늑골 / L1-L5 횡돌기

신경: T12-L3신경

 

기능

 

요방형근의 기능은 요추의 측굴, 요추의 신전, 복압에 대한 저항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심부 요방형근은 동작을 일으키기 위해 힘을 강하게 사용하는 근육이 아니라 이완성 수축으로 체간의 여러 동작을 조절하는 데에 있다.

횡돌기 부착 섬유들은 횡돌기 회전근육으로 장요근, 광배근, 하후거근, 해당 척추 기립근과 함께 요추의 관절에 작용한다.

임상적으로 디스크나 수핵의 탈출과 신경근 압박에도 관계한다.

상체가 측굴할 때 요방형근은 단독의 힘으로 골반을 거상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장골능을 거상 시킬 수는 있다.

장골능이 거상 된 쪽의 하지 길이가 단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측굴의 경우 고관절에 문제가 있는 경우와 감별해야 한다. 폼은 비슷하다. 하지만 고관절이 한쪽으로 비틀린 경우는 엉덩이가 튀어나온 쪽이 외전근 이완, 내전근 단축이 걸리고 반대 측은 외전근 단축, 내전근 이완이 걸린 상태이다.

 

측굴 골반고정 시 상체를 그냥 기울이는 것보다 반대쪽 상지를 외전 시키면서 상체를 기울일 때 더 강한 측굴이 일어난다.

이러한 측굴에는 광배근과 복사근이 주동 근육이 된다. 기울어지는 반대 측 근육들이 이완성 긴장과 함께 측굴의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요방형근은 이때 요추 관절들의 공간에 작용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함께 수축한다.

 

서서 일을 많이 하는 사람이나 노동을 많이 하는 사람은 외복사근, 광배근의 근력 약화나 혹은 피로로 인해 만성적으로 요방형근에 과부하가 걸리고 요방형근의 과부하는 허리 관절을 약하게 하고, 인접 장기인 신장을 폐색 할 수가 있다.

요추가 신전할 때 요방형근은 상지를 이용하여 요추를 신전하는 근육인 광배근과 요장늑근과 같은 척추 기립근등이 너무 강한 신전력이 작용할 때 방어한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복부근육의 강한 단축성 긴장에 희한 요추의 후만이 일어날 때 요방형근은 요추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요해서 이완성 긴장으로 방어를 한다.

복부근육들은 요방형근을 밀어내는 1차적인 근육이므로 항상 같이 고려해야 한다. 요방형근을 치료하면서 복근을 치료하지 않으면 반쪽짜리가 된다. 복부의 긴장으로 허리가 후만되어 일자가 되면 요방형근은 바로 늘어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요방형근의 긴장은 신체 전반적인 움직임을 둔하게 하며, 특히 상지와 하지를 자유롭게 사용하기가 어려워 진다.

 

통증의 양상 및 증상

 

요방형근의 통증은 다른 요통들과 달리 대부분 통증이 깊숙하고 은근히 쑤시는 형태로 나타나며, 체중이 실리는 동작에는 순간적으로 뜨끔뜨끔한 느낌 때문에 환자가 움직이는 것을 조심스러워하며 겁을 내게 된다.

천 층 섬유의 상부 발통점들은 장골능을 따라 통증을 방사하고 인접한 하복부에도 통증을 방사라기도 한다.

그리고 하부 발통점들은 대전자 주위와 대퇴상부의 외측 면에 통증을 방사하며 항문 근처까지 깊숙한 쑤심이 주로 나타난다. 이때 마치 천장관절이 어긋나는 것처럼 아프다.

일반적으로 요통에 대명사인데 요방형근의 긴장과 통증이 나타나기 전에 요방형근과 관련이 되는 주변의 근육들이 먼저 요통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