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폼롤러 매트 동작 -1 1. Hip Twist (양측 5회 반복) 천장을 보고 누워 폼롤러를 엉덩이 아래 위치시킵니다. 두 다리 모아 테이블 탑 자세를 만듭니다. 양다리를 가동범위만큼 한쪽으로 내리며 기울입니다. 마시며 돌아와 내쉬며 반대쪽으로 내려갑니다. effect 효과 코어강화, 척추 회전력 향상, 척추 스트레칭, 둔근 이완, 골반 안정성 향상 aponist(주동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직근, 복횡근 Small Equipment setting Form Roller Size: 900x150 2. Scissors (양측 5회 반복) 천장을 보고 누워 PSIS에 폼롤러를 위치시키고 양손을 폼롤러 옆을 잡습니다. 마쉬며 양다리를 모아 천장으로 올려 발끝을 세웁니다. 내쉬며 한쪽다리를 매트 쪽으로 내리고 반대쪽 다리는 얼굴 쪽.. 2023. 11. 23.
승모근 (등세모근, trapezius muscle)-2 3. 기능적 관점 승모근 중부 섬유(편측 기능- 흉추 고정 시): 견갑골을 상흉추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승모근 중부 섬유(편측 기능- 견봉 고정 시): 대부분의 움직임이 견갑골에서 일어나나 작업을 하거나 혹은 특정 동작을 할 때 손을 고정시키고 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깨가 고정이 되고 중심인 몸이 움직이게 된다. 승모근 중부 섬유: 편측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이들 근육의 불균형이 추골들을 아탈구 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흉추에 측만이 일어났다 하더라도, 고관절만 교정하려고 하기보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근육의 불균형을 먼저 해소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다. 물론 계속적인 교정의 결과로 근막이 이완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생활에서 오는 불균형이므로 골관절만 교정해서는 원하는 치료효과를 거둘 수가 없.. 2023. 11. 23.
승모근 (등세모근, trapezius muscle) 1 1. 승모근 (등세모근, trapezius muscle)이란? 승모근은 부착과 관계되는 해부학적인 요인들을 임상적으로 평가한다. 승모근의 부착지점인 후두골과 쇄골, 견봉, 견갑골 및 전 경추와 전체 흉추의 극돌기는 단순히 부착되는 지점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승모근의 손상과 함께 발생할 수 있는 만성적인 통증이나 질환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스스로 학습하여 생리적인, 병리적인 문제점들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부착된 지점과 서로 연결되어 나가는 다른 근육들의 모양이나 기능들도, 특정한 근육의 손상이 연관되면 다른 근육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이해가 그러한 경로와 해당 근육의 통증의 확산 및 기능의 감소이유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단순히 기시와 정지를 아는 것으로만 .. 2023. 11. 23.
광배근 (넓은등근, Latissimus muscle) 1. 광배근 (넓은등근, Latissimus muscle) 이란? 광배근은 지속적인 강화훈련을 해 주어야 한다. 특히 자세를 바르게 해주는 훈련이 중요하다. 광배근의 뿌리는 골반이다. 광배근의 이상은 골반의 이상을 의미한다. 골반 부착 근육이 건강해야 광배근도 건강하다. 특히 대둔근이 중요하다. 견관절에 대한 관점에서 본다면 너무 강한 광배근의 대립하는 근육인 상완삼두근 장두와 오훼완근을 같이 강화시켜야 아탈구를 예방할 수 있다. 2. 해부학적 부착과 신경지배 (1). 기시부: T7~T12 극돌기, L1~L5 극돌기, 천골에서 요부에 이르는 요부건막, 골반능 부착, 9~12th rib의 늑골 후연에 부착 (2). 정지부: 상완골의 결절간구 (전면) (3). 신경지배: C6~C8 흉배신경 광배근은 어깨, .. 2023.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