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소흉근 (작은 가슴근, Pectorialis minor muscle) 1. 소흉근(작은 가슴근, Pectorialis minor muscle) 이란? 소흉근의 손상은 상지로 순환하는 신경과 혈관 등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폐색 할 수가 있다. 특히 액와 동맥이 영향을 받기 쉬우며 액와 동맥은 요골 동맥으로 이어지므로 요골동맥의 맥박에 까지 영향을 준다. 소흉근은 보조 호흡근으로 견갑골이 고정된 경우 상흉곽을 거상 한다. 소흉근은 3,4,5 늑골에 부착하며 늑골에 부착하는 사각근, 전걱근, 상후거근 등돠도 연관이 된다. 승모근이나 견갑거근, 능형근, 오훼완근 등과 함께 체간에서 견갑골로 가는 근육 중의 하나이다. 특히 승모근의 경우는 견갑골을 안정, 고정시키는 중요한 근육으로 이들의 고정과 함께, 소흉근은 연속기능으로 상흉곽을 거상 한다. 소흉근의 손상은 단순리 통증.. 2023. 11. 11.
요방형근 (허리네모근, Quadratus lumborum muscle) 요방형근이란? 요방형근 근막의 심한 경직은 신장에 대한 폐색 기능을 가진다. 전체 요추의 횡돌기에 부착되어 요추에 대한 당김 밧줄로 균형을 잡는다. 12번째 부유늑골에 부착되어 있다. 부유 늑골은 또한 하후거근과 척추기립근들이 부착한다. 요방형근은 사각근과 형태나 부착이 비슷하기 때문에 공통점이 많다. 요방형근이 잘 이완되지 않으면 광배근, 대둔근, 복사근을 살펴야 한다. 요방형근은 골반에 변화를 주어 요추와 골반의 관계를 왜곡시킨다. 요방형근의 문제가 소둔근과 함께 발생하면 수술로 치유되지 않는 가성디스크가 생긴다. 대개가 마르고 요추가 후만 형으로 이루어진 사람들에게서 주로 볼 수가 있다. 장요근과 함께 복강의 압력에 대항하여 호흡의 주 근육인 횡격막의 기능에 관련이 된다. 허리통증이 있을 때 항상 .. 2023. 11. 10.
신체에서 가장 긴 근육, 봉공근 (넙다리 빗근, Sartorius muscle)과 치골근(두덩근, Pectineus muscle) 봉공근(넙다리 빗근, Sartorius muscle)이란? 신체에서 가장 긴 근육으로 골반에서 경골 내측으로 부착한다. 학슬풍의 주요 원인이 되는 근육이다. 대개는 발통점 보다는 신경폐색에 의한 통증이 더 심하고 무릎의 내측의 통증은 내측 측부 인대 손상으로 오인하기도 한다. 횡문이 있는 근육 중 하나이다. 제기차기 근육인데 제기차기는 X자 다리 교정 운동이다. 특히 내전근 긴장이 심한 여자에게 좋은 운동이며 골반을 튼튼하게 해 준다. 봉공근 아래 하대동맥, 하대정맥이 함께 주행한다. 하지에서 가장 길어 격렬한 축구 선수들에게 흔히 통증이 발생하는 근육이다. 거위발(Pes anserinus) 점액낭염(SGT)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근육움직임을 가지고 있다. 해부학적 부착지점 기시: 장골외측면의 전면, A.. 2023. 11. 10.
매트 필라테스 동작- 중급+상급 중급 동작 1. leg pull front (양측 5회 반복) 매트에 엎드려 네발기기 자세를 하고 양다리를 아래로 뻗어 발볼로 버팁니다. 머리, 척추, 다리를 사선 일직선으로 만들고 마시고 내쉬면서 한쪽 다리를 골반 높이만큼 들어 올립니다. 이때 발끝을 세워줍니다. 마시면서 돌아옵니다. 네발기기 자세에서 진행하는데 주의해야 하는 점은 등이 꺼지지 않게 계속 손바닥으로 땅을 밀어줘야 합니다. effect 효과 몸통 안정성 향상, 골반의 안정성 향상, 고관절 신근 강화, 견갑골 안정화, 코어강화, 고관절 유연성 향상 aponist(주동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직근, 복횡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 반막양근, 반건양근, 대둔근, 대내전근 synergist(협력근) 전삼각근, 상완 삼두근, 대퇴방형근, 가.. 2023.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