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9 흉쇄유돌근( 목빗근, Sternocleidomastoid muscie)- SCM 1. 흉쇄유돌근이란? 흉쇄유돌근은 두개골과 경추의 연결 부위를 움직이게 하는 굴곡 근육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본다면 두개골의 움직임을 통해 두개골과 안면의 구조물들이 수평을 유지하게끔 균형을 잡는 근육으로 오히려 우리의 몸이 움직일 때 오는 흔들림이 두개골의 구도들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충격을 완화하는 근육으로 이해하면 된다. 안면 통증과 많은 연관이 있는데 안면이 발생하는 모든 문제점들에 대해 물고를 트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안면신경 마비의 치료에는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을 기본적으로 치료한 후 안면의 근육들을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뇌의 척수가 시작되는 부분의 움직임과 관련이 되는 근육으로 균형과 연관이 많이 되며 특히 척추의 전면 좌우를 지나 가는 자율신경 역시도 가장 .. 2023. 10. 31. 상지 근육 능형근, 전거근 능형근(마름근, Rhomboid muscle) 능형근을 살필 때는 승모근 중부, 전거근, 대흉근, 견갑거근을 같이 살펴야한다. 능령근은 견갑골을 모아주는 근육으로 승모근 전체 섬유들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상흉추의 전만과 후만 그리고 측만에 관여한다. 또한 승모근 섬유들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면 과부하가 잘 걸린다. 견갑골을 외전 시키는 근육은 전거근으로 능형근은 전거근과 함께 살펴야한다. 소능형근은 견갑골극의 부착하는데 위쪽 견갑골 상각에 대한 문제시 특히 중요하다. 심장 관련 질환 시 항상 고려해야 한다. 특히 견갑골 내측연이 아픈 근육을 모두 관련시켜 검사해야 한다. 체간에서 견갑골로 부착되는 근육들은 견갑골에서 상완골로 부착되는 근육의 기능에 대한 안정 기능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능형근은.. 2023. 10. 26. 어깨 충돌 증후군 원인 근육-2 1. 소원근(작은 원근, Teres minor muscle) 통증의 방산는 근육이 부착 하는 바로 그 지점에 일어난다. 관절을 고정시키는 핀과 같은 느낌을 주는 근육으로 과도한 회전들을 방어한다. 승모근 하부섬유의 수축 동작과 연계한다. 촉진 시 반드시 견갑골의 외측연을 만지듯이 만져야 잘 만져지고 가늘 짧은 작은 굵기의 덩어리가 튕겨진다. 심한 경우는 견갑골 내측연의 일부처럼 느낌이 뼈뼈처럼 느껴진다. 상완삼두근 장두와 십자로 교차하여 주행한다. 1. 기시정지신경 기시: 견갑골의 액화연 정지: 상완골의 대결절 (극하근 부착지점) 신경:C5, C6 액와신경 2. 기능 극하근과 나란히 기능한다. 일반적인 외회전을 극하근이 담당한다고 하면 소원근은 외전이 일어난 동작에서의 외회전을 보완한다고 보면 된다. 상.. 2023. 10. 20. 어깨 충돌 증후군 원인 근육-1 극상근 (가시위근, Supraspinatus Muscle) 극상근은 견관절 외전 초기 각도에서 주로 작용하는 근육이다. 극상근의 경직은 견갑상 신경의 폐색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회전근개 중의 하나인 극하근의 운동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1.기시/정지/신경 기시: 견갑골의 극상와 정지: 상완골 대결절 상부 신경:C5 견갑상 신경 2.기능 극상근은 상완골이 약간이라도 들어 올려 지는 활동이 일어날 때 상완골두를 잡고 움직여 관절의 운동이 원활하게 일어나게 하여 견관절의 활동을 섬게하게 돕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견관절의 외전 기능을 하며 감각근의 전부섬유와 함께 외전 및 굴곡 기능에 관여 한다. round shoulder시 극상근의 방향이 보다 앞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외전을 하는 방향이 변형 되.. 2023. 10. 15. 이전 1 ··· 3 4 5 6 7 8 다음